1949년 8월15일 독립 1주년 기념식 민간에선 ‘광복’을 ‘해방’으로 혼동, 역대 정권도 ‘건국 기억’을 홀대
“대한민국 건국의 기억은 당초 ‘독립기념일’이었던 8월 15일이 ‘광복절’로 바뀌면서 혼란스러워졌고, 이승만 정권이 무너진 후 역대 정권이 이를 외면하거나 폄하하면서 약해져갔다.”
1949년 8월 15일 정부는 ‘대한민국 독립 1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이날은 민국(民國) 건설 제1회 기념일”이라고 했다. 그해 10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정부가 제출한 법률안의 4대 국경일 명칭은 3·1절, 헌법공포기념일, 독립기념일, 개천절이었다.
그런데 국회 심의 과정에서 헌법공포기념일은 ‘제헌절’, 독립기념일은 ‘광복절’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1950년 8월 15일 대구에서 ‘제2회 광복절’ 기념식이 개최됐고, 1951년 8월 부산에서 ‘제3회 광복절’ 기념식이 열렸다.
이승만 정권은 대한민국 건국의 기억을 간직했다. 1953년 8월 ‘독립 제5주년 기념식’이 거행됐고, 1958년엔 ‘건국 10주년’을 기리는 행사들이 열렸다. 기념 화보집·사진집이 발간됐고, 1948년 8월 15일 태어난 ‘건국둥이’들이 꽃수레를 타고 서울시가를 행진했다.
<1949년 8월 15일 서울 중앙청 광장에서 열린 ‘대한민국 독립 1주년 기념식’ 모습. 중앙청 건물 윗부분에 내걸린 대형 플래카드에 적힌 문구 ‘한번 뭉처 민국 수립, 다시 뭉처 실지 회복’은 독립 1주년을 기념하여 국민에게 공모한 것이었다>
하지만 ‘영광스럽게 회복한다’는 뜻을 지닌 ‘광복(光復)’은 민간에선 ‘일제(日帝)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의미로 이해됐다. 1950년부터 일부 언론이 광복절의 주기(週期)를 1945년 8월 15일부터 기산하기 시작했다.
6·25전쟁이 끝난 1954년 무렵 광복절의 기년(起年)은 1945년으로 굳어졌다.
4·19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불명예 퇴진한 뒤 들어선 정권들은 자신의 치적을 강조하기 위해 이승만과 그가 주도한 ‘건국’을 깎아내렸다.
1960년 8월 ‘제15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윤보선 대통령은 이승만의 독재정치를 비난했다.
5·16 으로 집권한 박정희 군사정부는 제헌헌법의 전문(前文)에 들어있던 ‘민주독립국가의 재건’이라는 대한민국 성립에 관한 서술을 삭제했다. ‘조국 근대화’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는 자신감에 넘쳤던 박정희는 대한민국 건국을 중시하지 않았다.
건국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져 가는 공백을 감성적·종족적 민족주의가 채우는 한편으로 대한민국의 도덕적 가치를 부정하는 좌파 세력이 강력하게 치고 들어왔다.
민중민족주의 역사관은 한국근현대사의 기본 과제가 반제(反帝)·반봉건(反封建) 민주 혁명이었는데 미군정과 대한민국에 의해 좌절됐다고 주장했다.
우리 근현대사를 “친일파 세력이 중심이 돼 지배해 왔다”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했다”고 규정한 김대중·노무현 정권이 들어서면서 이런 역사관이 교과서 등을 통해 급속히 퍼져갔다.
오늘의 대한민국은 시대착오의 좌우합작이 벌인 혼란의 한가운데서 방황하고 있다”며 “1948년의 건국 이념을 올바로 회복·계승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이승만 학당의 이영훈 교수/2018년08월13일 조선일보 인터뷰 중에서-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Latest posts by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see all)
- 7월 14일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 - 6월 16, 2024
- 디아스포라 탈북민 티모시 조 - 6월 13, 2024
-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Los Angeles) - 6월 5,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