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사회>
하루 24시간 접속이 코로나 이전까지의 21세기 생활 방식이었다. 현대 컴퓨터 기술에 의해 우리의 생활 방식은 개인에서 시장으로, 로컬에서 글로벌로 전환 되었었다.
그것을 단단히 묶는 인프라는 디지털과 피지컬(physical)이다. 디지털은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고, 피지컬은 기그 경제, 이커머스(e-commerce), 글로벌 직장 등이다.
비대면 상거래를 선호하는 코로나 사태 이후 앞으로 더욱 더 디지털 접속은 강화될 것이다. 이미 전자기기 판매 호조가 그것을 보여주고 있다.
재택 근무 트렌드도 가속 화 될 것이다. 학교 체제, 교사, 교수에 대한 불신감이 커지고, 순전히 졸업장만을 위한 고등교육 체제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될 것이다.
정부의 권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코로나 방역 강화를 핑계로 한 국민의 사생활 침해를 눈감아 주면 국민은 영원히 국가의 쇠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한번 ‘국민통제’의 맛을 들인 국가는 결코 과거로 돌아가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국민들이 각성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권력이 펜데믹을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했는지, 권력의 속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만 한다.
사악한 정부가 아니라도, 모든 국가, 모든 정부, 즉 모든 권력은 결코 선하지 않다. 우리는 물론 애국심이 있다. 우리나라에 대해 자부심과 애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국가는 동시에 국민의 사생활을 세밀하게 감시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권력이기도 하다.
그 무서운 권력에서 힘없는 개인을 지키기 위해 온갖 법과 제도와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마구 풀어 국가에게 개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권한과 수단을 부여하고 더 나아가 국민이 그것을 스스로 동의한다면.
지금은 바이러스와의 전쟁 기간이므로 모든 것이 허용된다고 사람들은 생각하는 듯하다. 전염병의 공포 앞에서 사생활 침해 같은 게 무슨 문제냐고 말한다. 그리하여 서로 간의 감시와 고발도 서슴지 않는다.
그러나 한 번 굳어진 관행은 사태가 종결되어도 쉽게 바뀌지 않는다. 한 번 국가에게 허용한 개인 인권의 침해는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이어질 것이다. 그리고 그 종말은 무시무시한 전체주의 국가로 이어질 것이다.
<다시 생각해 보는 평등>
전 세계의 거리가 일시에 텅 비고, 모든 사람들이 자기 집에 칩거해 있는 이 상황에서 나는 절대적인 평등을 본다.
돈이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이나 한 결 같이 고급 레스토랑이건 식당이건 갈 수가 없다. 극장이나 스포츠 경기장 같은 오락 시설에도 갈 수 없고, 해외여행도 갈 수가 없다. 완전 평등이다.
그런데 사회주의자들이 그토록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이 절대적 평등에서 우리는 왜 이토록 부자유를 느낄까? 마치 온 몸을 사방에서 죄어 오는 듯한 이 부자유가 우리에게는 몸을 옴짝 달싹할 자유도 없다는 이 갑갑함과 절망감을 갖게 한다.
자유와 평등은 결코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한다. 절대적 평등이란 절대적 자유의 박탈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모든 것이 고르다는 것, 차별이 없다는 것, 절대적으로 평등하다는 것은 결국 죽음을 닮은 정체의 상태라는 것을 실감한다.
들쭉날쭉 차별이 있는 그 리듬감 이야말로 활기와 생명력이라는 것을 우리는 코로나 사태 속에서 몸으로 실감하였다.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Latest posts by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see all)
- 7월 14일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 - 6월 16, 2024
- 디아스포라 탈북민 티모시 조 - 6월 13, 2024
-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Los Angeles) - 6월 5, 2024
http://prednisonebuyon.com/ – Prednisone
anti impotence levitra
http://buyneurontine.com/ – gabapentin in d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