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납북자 가족 외침에 침묵’
2021년 6.25납북자가족, 문재인에게 공개질의…“종전선언 결사반대”
참전 용사들에게 ‘영웅의 제복’ – 6·25참전유공자회 손희원(왼쪽 둘째부터) 회장, 김창석 이사, 이하영 이사가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 초청 오찬에서 거수경례를 하자 윤석열 대통령이 박수로 화답했다. 참전용사 세 사람이 입고 있는 상의는 국가보훈부가 새로 만든 ‘영웅의 제복’이다. 참전 유공자들이 유니폼처럼 입던 조끼를 대신하도록 만든 예복이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납북자 가족을 14일 청와대 영빈관으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역대 대통령 중 납북자 가족을 만난 첫 대통령이 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남북 관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방치했던 납북자 문제를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12일에는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는 12일 납북·억류자 가족들을 만나 위로하는 자리를 가졌었다.
김 여사는 경기도 파주 국립 6·25전쟁납북자기념관에서 납북·억류자 가족들을 만나 “저마다 사연은 다르지만 우리 국민의 일이고 우리 모두의 아픔이다. 수십 년 동안 한이 됐을 것”이라며
“이제는 정부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납북·억류자의 생사 확인과 귀환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오른쪽)가 지난 4월12일 경기 파주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에서 1977년 납북된 이민교씨의 어머니 김태옥씨의 손을 잡으며 위로하고 있다/ 뉴스1
김 여사는 납북·억류자 가족들에게 “너무 늦게 찾아뵈어 죄송하다”며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하는 평범한 일상과 자유를 빼앗기고 이들의 생사 여부도 모른 채 수십 년을 지내야 하는 아픔은 감히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이들에게 납북 문제에 대한 윤석열정부의 강한 대응 의지를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납북자는 6·25 전쟁중 납북된 전시(戰時) 납북자, 1953년 정전협정 후 납북된 전후(戰後)납북자로 나뉜다. 전시 납북자는 대략 10만여 명, 전후 납북자는 3835명이다.
전후 납북자는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까지 집중 발생했다. 전후 납북자들 중 3310명은 송환으로 돌아왔고 9명은 탈북을 통해 귀환했다. 아직도 억류된 전후 납북자는 516명(2022년 말 기준)으로 추정된다.
지난 이명박 정부 당시 1977년 수학여행 중 전라남도 홍도에서 북한에 의해 납북된 이민교씨의 송환을 위해 이명박 정부는 북한에 있는 휴민트(내부 협조자)를 이용해 이민교씨와 또 다른 납북자에게 가족의 소식을 전하려고 했다.
당시 이민교씨의 어머니 김씨는 편지를 전할 수 있다는 마음에 기뻤지만 이내 포기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김씨는 “아들에게 소식을 전할 수 있다는 얘기에 아주 기뻤지요. 편지를 쓰려고 보니 문뜩 이런 생각이 들었다”면서 “이 편지가 전달되는 도중 북한 당국에 적발된다면 나보다 아들이 위험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차마 편지를 쓸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상황을 잘 알고 있던 정부 한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모자(母子) 만남을 성사시키지는 못했지만, 북한 내부 협조자를 통해 소식을 전달해주려 노력했다”면서 “그래서 여러 차례 편지를 써보라고 권했지만 김씨는 아들의 안전 때문에 포기했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한다며 한창 들떠 있을 당시 김씨는 이 기회에 아들을 만날 수 있겠다는 작은 희망이 다시생겨, 문재인에게 절절한 마음을 담아 편지를 썼다.
김씨가 문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내용의 일부다.
“수학여행을 보낸 이 어미의 죄요, 그래서 북에 납치된 것도 어미의 죄입니다. 지금까지 역대 대통령에게 북에 납치된 사건을 용서할 테니, 죽기 전에 아들 얼굴 한 번 보게 해달라는 것이 그렇게 죄가 되나요.
나도 이제 나이가 많아서 얼마 살지 못할 것 같아요. 죽기 전에 아들을 한 번만 만나게 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정부와 문재인 대통령은 하루속히 아들을 만나게 해주십시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아무런 답이 없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납북자가족들은 문 대통령과의 만남과 납북자 문제를 해결 해 달라는 요청을 보냈지만 문재인 정권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의 종전선언과 관련한 8개 공개질의를 문재인에게 보냈다
2021년 12월에는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가 문재인 정부의 종전선언에 대해 한국전쟁 납치 범죄 문제에 대한 해결 없이는 종전선언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당시 납북자 가족협의의 이미일 이사장은 종전선언과 관련한 공개 질의서에서 (문재인이) ‘휴전회담 당시 송환에 실패한 납북피해자들에 대한 문제 해결도 없이 유엔 총회에서 뜬금없이 종전선언을 제안했습니다.
말도 안됩니다. 북한이 자행한 전쟁 납북 범죄, 이를 덮어주기 위해 그러는 것 아닙니까? 저희들은 전쟁납북자 문제 해결 없는 어떤 종전선언이든 결사 반대할 것을 천명하는 바입니다’ 라며 질의서를 보냈지만 아무런 답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국민의 안전과 보호이다. 미국과 일본은 외국에 납치된 자국인 문제를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전방위적으로 대응해 왔다.
2009년 미국은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 석방을 위해 클린턴 전 대통령을 북한에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도 2018년 북한에서 석방된 미국인 3명을 공항으로 나가 직접 맞았다.
일본의 아베 신조 전 총리는 납북자 문제에 정권의 명운을 걸다시피 했고 납북자 가족들을 수시로 만나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이번 윤석열 대통령이 국군포로· 납북자 가족을 만나는 것은 상식 중의 상식이다. 우리 국민도 이제야 ‘상식적인’ 대통령을 만나게 된 것이다.
이날 윤 대통령의 초청을 받은 납북자 가족모임의 최성용 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북한과 대화한다며 납북자 가족을 한 번도 만나주지 않았다”며 “윤석열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위로가 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억류된 납북자 문제에 대한 공동의 관심을 끌어낸 바 있다.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Latest posts by 위드코리아USA 편집국 (see all)
- 7월 14일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 - 6월 16, 2024
- 디아스포라 탈북민 티모시 조 - 6월 13, 2024
- “제 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 미주 탈북민 대회”(Los Angeles) - 6월 5, 2024